본문 바로가기

참살이

귀농 · 귀촌의 3가지 트렌드

생계를 위해 선택했던 귀농이나 귀촌이 최근 들어 스마트형과 전원생활형, 노후생활형으로 바뀌고 있다. 이에 따라 실업자와 은퇴를 앞둔 사람들에게 귀농·귀촌을 적극 권유해 도시에 집중된 노동력과 복지부담을 농촌으로 분산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경기개발연구원은 4일 '한국 농업의 새로운 트렌드 : 귀농·귀촌'이라는 연구논문(책임연구원 이수행)을 발표했다.


이 연구논문에 따르면 1998년 귀농·귀촌 가구는 6409가구로 전년 대비 2.5배 증가했다. 외환위기로 대량 실직이 발생하자 생계형 귀농·귀촌이 일시적으로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10여년이 지난 2011년에는 전년 대비 1.6배가 는 1만503가구가 귀농·귀촌한 것으로 집계됐는 데, 외환위기 때와 다른 것은 생계형이 아닌 스마트형과 전원생활형, 노후생활형이 특징이다.


스마트형은 자본과 기술을 가지고 사업차원에서 귀농·귀촌하거나 농업대학 졸업 후 창업하는 청장년 위주의 귀농·귀촌으로, 생산·유통·판매에 새로운 양식을 도입해 혁신을 주도하는 집단이다.


이들은 농업에 디지털·모바일 기술을 결합해 효율적인 농장관리와 인터넷 판매 등을 통해 억대 부농으로 성장하는 중심에 서 있다.


전원생활형은 은퇴 전에 이직해 텃밭 등 소규모의 농사를 지으며 농산물을 가공·판매하거나 체험하면서 다양한 농외소득을 창출하며 전원생활을 즐기는 부류다. 일부는 지역주민과 함께 창업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대안학교를 운영하며 마을리더 활동 등으로 지역사회 활성화에 기여한다.


노후생활형은 은퇴 후 노년의 생활터전으로 농촌을 선택하고 적당한 규모의 농사를 지으며 자족하는 생활을 유지하는 형태다. 2011년 60세 이상의 귀농·귀촌 가구는 2550가구로 전체의 24.3%였다.


노후생활형 귀농은 비교적 여유 있는 중산층 은퇴자와 복지수혜 대상인 빈곤층으로 양극화하는 특징이 있다.


이 연구위원은 "이들 신 귀농·귀촌인들을 활용하면 도시의 잉여 노동력과 복지부담을 농촌으로 나누는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예비 귀농·귀촌인들에게 농촌 적응기간을 거쳐 영농을 본격 시작하는 단계에 이르기까지 전문경영 지원시스템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은퇴자와 빈곤 노인에게 적합한 작물 재배와 빈집·은퇴농장 등을 지원하는 맞춤형 귀농·귀촌 프로그램도 유효한 정책으로 판단했다.


이 연구위원은 "농림진흥재단과 농업기술원이 나서 1년 과정의 인턴농과 2년 과정의 인큐베이팅을 포함한 '1+2 적응 교육시스템'을 서둘러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