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숨겨진

한국전통문화학교 - 문화재 관리전문가 부족하다고 탓하더니

제 3자의 입장에서 본다면 답답할 노릇이지만, 정작 기득권들의 입장을 생각해보면 올바른 방향인 줄 알지만
자신의 삶이 걸려있기에 쉽게 내어줄 수 없을 것이라는 점도 이해는 됩니다.
정치라는게 이럴 때 필요한 게 아닐까요?
국회의원도 이런 갈등과 문제를 풀어내라고 뽑아 준 것인데, 기득권의 안정성을 확보해주고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게 고치는 일이 그들이 할 일인 것을.

이렇게 가다보면 극에 이르러 국민들이 손수 고치겠다고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럴 때는 큰 혼란이 올 것이고, 약삭빠른 기득권과 정치인은 얼른 자신의 몫을 챙기는 이도 있겠지요.

생각해보면 이런 저런 생각들이 수도 없이 뒤섞입니다. 인간은 스스로 발전한다는 진리, 실수로써 고쳐나간다는 믿음을 굳게 가져봅니다.



문화재 관리전문가 부족하다고 탓하더니…


전통문화학교 졸업생 실태… “키워놓고 사실상 방치”

한국전통문화학교 문화재관리학과 4학년인 김모(여·25)씨는 지난해 2학기부터 휴학하고 일반직 7급 공무원 시험을 준비 중이다. 불상, 석탑 등 한국의 전통 문화재를 좋아해 지난 2003년 전통문화학교에 입학했지만 문화재 관리인력을 뽑는 곳이 거의 없어 공무원 시험으로 방향을 틀었다. 김씨는 “숭례문 화재이후 공무원들이 문화재 관리 보존 전문가가 부족하다고 말하는 것을 보고 기가 막혔다”며 “문화전문가가 없는 것이 아니라 문화전문가에게 일자리를 주지 않는 것이 우리사회의 현실”이라고 분통을 터트렸다.

◆문화재 전문가가 없다? = 한국전통문화학교는 문화재청이 지난 2000년 전통 문화유산을 과학적으로 보존·계승·발전시킬 전문 인력을 양성할 목적으로 충남 부여에 설립한 4년제 특수 국립대학이다. 이 학교에는 문화재관리학과, 전통건축학과, 문화유적학과, 보존과학과, 전통조경학과, 전통미술공예학과 등 6개과가 개설돼 있다.

문제는 체계적으로 전통문화를 보존, 관리하는 교육을 받은 이 학교 졸업생들이 졸업 후 갈 곳이 없다는 점이다. 지난 2004년 첫 졸업생 배출이후 2007년까지 207명의 졸업생을 배출했지만 문화재 관련업체나 박물관·연구소 등에 취업한 인원은 각각 39명(18.8%), 10명(4.8%)에 불과하다. 이들외 공무원으로 44명(21.2%)이 취업했지만 비정규직이 26명에 달하는데다 실제 문화재청에 취업한 졸업생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문화재 관리 전문인력을 사회에 배출한다는 목표와는 거리가 먼 결과다.

졸업생 이모(여·25·박물관 근무)씨는 “왕릉, 사찰, 유적지 등 보존해야 할 문화재가 전국에 산재해있지만 보존관리 책임자는 아예 없거나 있더라도 비전문가가 하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문화재 관리나 연구가 제대로 될 리가 없다”고 비판했다.

◆갈수록 어려워지는 문화재 전문가 양성 = 이처럼 문화재 전문가를 찾는 곳이 없다보니 향후 문화재 관리·보존 인력을 가르칠 지도자 양성이나 확보마저 위기에 처하고 있다. 이 학교 전임교수 정원은 23명이지만 현재 확보한 교수도 19명에 불과하다. 이 학교 관계자는 “지난해 교수채용 공고를 냈으나 서양 건축 전문가 등 부적격자가 대거 지원해 뽑을 수가 없었다”며 “전문가 활용이 안되다보니 이를 통한 후대 양성이라는 교육구조도 만들어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문화재 학교 예산도 지난해(115억1100만원)보다 19.2%(22억1600만원)줄어든 92억9500만원이 책정돼 교육부실마저 우려되고 있다.

지도자 양성을 위해 대학원을 설립하고 학교 이름을 ‘한국전통문화대학교’로 바꾸는 법이 지난해 국회에 상정됐지만 국회의원들의 문화재 인력양성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본회의에서 부결되기도 했다. 학교 관계자는 “문화재 전문가의 지속적인 양성을 위해서는 문화재 관련 기관에 일정수의 전통문화학교 졸업생 배치를 의무화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광식 고려대 한국사학과 교수는 “한국전통문화학교는 문화재 관리, 보존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는 유일한 교육기관인데 이 학교 졸업생들이 문화재 전문가로 활동하지 못한다는 것은 문제”라며 “문화재를 아는 인력이 적재적소에 배치되어야 숭례문 화재 전소와 같은 사고의 재발을 막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